클래스형 컴포넌트에 이어 이번에 소개할 컴포넌트 작성 방식은 함수형 컴포넌트(function component)이다.
const TestComponent = props => { return ( // jsx ); }; export default TestComponent;
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함수의 형태를 띄는데, 파라메터로 Props를 받아올 수 있다.
한 메소드 안에서 랜더링이 모두 이루어지는 함수형 컴포넌트의 특징을 잘 활용하기 위해 아래처럼 사용하며 기본값도 지정해줄 수 있다.
const TestComponent = ({ name = 'ian', age = 22, }) => { return ( // jsx <div> <p>{`${name}님, 내년이면 ${age + 1}살이시네요.`}</p> </div> ); }; export default TestComponent;
그렇다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Stat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?
여기서 Hook 개념이 등장한다.
const TestComponent = ({ name = 'ian', age = 22, }) => { const [ number, numberHandler ] = React.useState(0); return ( // jsx <div> <p>{`${name}님, 내년이면 ${age + 1}살이시네요.`}</p> </div> ); }; export default TestComponent;
useState(value)
는 State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들이 담긴 배열을 반환하는데,이를 비구조화할당을 통해 [
변수
, 변수 핸들러
] 처럼 받아올 수 있다.이 중 첫번째 인자는 변수 자체이며, 두번째 인자는 변수 변경할 수 있는 함수
setState({ 변수 })
라고 생각하면 된다.export default () => { const [number, numberHandler] = React.useState(0); return ( <div> <p>{`${number}번 클릭하셨습니다.`}</p> <button onClick={() => { numberHandler(number + 1); }} > Click </button> </div> ); };
또한 컴포넌트의 업데이트를 감지하기 위해서는
useEffect()
를 사용하면 된다.export default () => { const [number, numberHandler] = React.useState(0); React.useEffect(() => { console.log(number); }, [number]); return ( <div> <p>{`${number}번 클릭하셨습니다.`}</p> <button onClick={() => { numberHandler(number + 1); }} > Click </button> </div> ); };
두번째 인자인 배열 안에 있는 값들이 변경될 경우 첫번째 인자인 함수를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.
만약 아무 값도 넣지 않는다면, 컴포넌트 실행 후 최초 한번만 effect가 실행된다.
<TestComponent isTest={true} />
export default props => { const [number, numberHandler] = React.useState(0); React.useEffect(() => { if (props.isTest) { numberHandler(10); } }, []); return ( <div> <p>{`${number}번 클릭하셨습니다.`}</p> <button onClick={() => { numberHandler(number + 1); }} > Click </button> </div> ); };
이 외에도 많은 Hook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회가 되면 알아보도록 하겠다.